- 목표를 명확히 합니다.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치료의 목표는 가능한 한 빨리 환자의 불편함을 덜어주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알레르기 원인 파악 이전에 2차 감염을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할 수 있습니다.
- 진단 및 치료 비용을 명확히 합니다.
비용 지불 능력에 따라 치료 전략을 변경하는 것이 표준 이하의 진료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고, 보호자에게 옵션을 제공하여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합니다.
- 진단 및 치료 타임라인을 제공합니다.
환자별로 최선의 장기 치료 계획을 결정하는 데 2~4개월 긴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진단 및 치료 단계와 함께 진행해야 하는 사항들을 보호자에게 명확히 설명합니다.
- 약물 조정 가능성을 안내합니다.
보호자에게 알레르기 관리는 환자의 삶을 위한 것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물 조정이 필요할 수 있음을 안내해야 합니다. 잘 관리되는 환자에서도 급성 발적(flare)은 드문 일이 아니라는 점을 미리 고지합니다.
- 공감하는 의사소통을 위해 노력합니다.
보호자가 편하게 걱정을 표현하고, 제약을 이야기하고,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을 편하게 질문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을 위해 노력합니다. 보호자가 환자의 상태와 건강을 판단할 수 있는 적극적인 파트너가 되어야 합니다.
- 보호자의 정보 과부하를 염두에 두고 상담합니다.
보호자가 너무 많은 정보로 과부하를 겪을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지켜야 할 부분들에 힘들어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명확한 서면 지침을 제공하고 반복적으로 설명하며, 때로는 정보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한 쉬는 시간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보호자가 선호하는 정보 수신 방식을 확인합니다.
구두, 서면, 영상 등 어떤 방식으로 정보를 받기를 선호하는지 확인합니다. 몇 가지 옵션을 제공하고 나중에 참고할 수 있도록 지침을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내 문구를 명확히 합니다.
명확한 문구와 지침은 보호자의 규정 준수와 2차 감염 관리의 핵심입니다. 예를 들어 약물의 적절한 혈청 농도 유지를 위해서는 '하루 1정을 투여한다'보다는 '24시간에 한 번씩 같은 시간에 1정을 경구투여한다'라고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보호자가 안내사항을 잘 따른 것에 칭찬합니다.
환자가 재검을 위해 내원했을 때, 개선사항이 미미하더라도 보호자가 지침을 잘 따른 것에 대해 칭찬합니다.
-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대해 설명합니다.
환자가 투약 중인 약물에 따라 필요한 지속적인 모니터링(혈액검사 등)에 대해 보호자에게 반드시 이야기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