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수술기의 본체에서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키고, 전극(핸드피스)을 통해 발생한 전류가 생체 내로 흘러들어갑니다.
이 전류는 패드를 통해 다시 본체로 돌아오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패드가 부착되지 않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Bipolar
Bipolar circuit
양극성 전기수술기로, monopolar보다 더 낮은 전압을 사용하여 큰 출혈부위를 절단하고 응고시키는 능력은 제한됩니다.
핸드피스가 집게모양으로, 양쪽의 조직을 쉽게 잡을 수 있는 시술에서 더 이상적으로 사용됩니다.
제한된 영역을 섬세하게 제어할 수 있어 민감한 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monopolar와 달리 패드의 부착 없이 핸드피스 겸자 통해 전류가 이동하기에 환자에게 전류가 통하는 과정에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전기수술기의 기본 원리는 절개, 응고, 지혈이다.
전기수술기는 수술 시 조직의 일부를 절개하고 출혈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전극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전압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낮은 전압에서는 광범위한 응고가, 높은 전압에서는 절개가 일어나며, 조직에 가해지는 전압이 높아지면 주변 조직의 열손사이 깊어지면서 그을음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절개: 강한 전력에 의해 조직이 절개되며, 주변 조직 손상위험이 있어 정밀한 수술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응고: 절개 시 사용하는 전력보다 낮은 전력을 사용하며, 수술 시 출혈 부위에 사용합니다. 전력을 낮추면 절개되지 않고, 조직이 타면서 지혈됩니다.
지혈: 절개와 응고의 중간 방식입니다. 전압이나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어 조절에 따라 응고 방식이나 절개 방식에 가까워집니다. 상황에 맞게 전기수술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출처: Principles and safe use of electrosurgery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hsen Mahmoud El-Sayed, Gynecology and pelvic medicine, 2021 및 https://bmet.tistory.com/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