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안녕하세요.
수의사라면, 원장님도 선생님들도 모두 달력을 넘길 때 빨간날이 며칠인지부터 보게 되는 법이죠.
5월엔 유난히 빨간날이 많은 것 같아요. 다음 주엔 부처님오신날이 5월 15일 수요일에 또 휴일이 예정되어 있네요.
선생님께도 행운이 가득하길 바라며, 오늘은 목요일인 만큼 "수의사를 위한 학술 지식" 을 준비했어요.
벳플레터 시작하겠습니다.
대한수의사회지 월간 <동물의료> 2024년 5월호가 회원들을 찾는다고 해요.
수의사를 만나다, 함께 고민하는 수의 윤리, 수의사의 생활법률 등 다양한 소식을 다뤄요.
전북특별자치도는 7일부터 31일까지 4주간 도내 동물용의약품 등 취급업소 748곳를 대상으로 일제점검을 시작해요. 점검대상은 동물용의약품 도매업소 28곳, 동물병원 218곳, 동물약국 341곳, 동물용의료기기 판매업소 161곳 등이에요.
🐾고양이 만성 신부전과 간질환 1차 : 만성 신부전 고양이의 관리 TIP
🐾2024년 제 15차 한국수의안과연구회 총회 및 세미나
🐾 가스분석 패키지
고양이 약리학
고양이에 대한 임상 약리학 지견은 개에 비해 현저히 부족합니다.
개의 투여량에 대한 자료는 있지만 고양이 투여량에 대한 자료가 없는 약물이 여전히 많으며, 개의 용량으로 약물을 사용했다가 심한 부작용을 초래한 사례도 있습니다.
아래는 고양이 진료지침 PART 1에 수록된 내용 중 일부를 재구성하여 작성된 내용입니다.
고양이의 소장 용적은 같은 체중의 개에 비해 작아서 소장 내용물의 체류가 적습니다.
한편 위(stomach)의 내용물 배출은 위장관 조영 시 조영제가 다음날까지 위에 남아있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늦으며, 특히 배가 차있는 경우는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공복시보다 만복 시에 경구투여한 약물이 흡수가 잘 됩니다.
기본적으로 개와 고양이에서 약물의 생체이용률에 큰 차이는 없지만 몇 가지 예외는 있습니다.
고양이에 프레드니솔론을 경구로 투여한 경우 흡수율이 개에 비해 낮고, 시프로플록사신의 생체이용률(0~20%)도 개(40%)에 비해 낮습니다.
그 외에도 생체이용률의 차이가 있는 약물들이 존재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고양이는 개보다 순환 혈액량이 적어서, 약물의 흡수율이 같으면 개보다 혈중농도가 높아집니다.
그로 인해 뇌와 심장 등 혈류량이 많은 장기는 특별히 고농도의 약물에 노출되기 쉬어 부작용의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됩니다.
고양이에서 절대적·상대적 금기인 약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