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ay는 골절의 진단을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진행되는 검사입니다. 방사선 상 골절이 확인되면 올바른 치료 프로토콜을 시작할 수 있도록 골절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파악해야 합니다. 골절 방사선에서 유의해야 할 골절부위와 그 주변 연부조직에서 확인해야 할 다양한 방사선학적 특징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골절의 발생 시점은 문진을 통해 알게 되는 경우가 많지만 불확실한 경우에는 방사선학적 특징으로 대략적인 시점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신생골절에는 골절부위 뼛조각의 가장자리가 예리하며, 뼈의 리모델링이나 신생골의 형성의 흔적이 보이지 않습니다. 1주 이상 지나면 뼈 흡수로 인해 명확한 마진을 보이지 않으며, 골절면 주변으로 새로운 뼈가 생겨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 방사선 상 골절부위 주변 연부조직에 가스 음영이 보인다면, 해당 부위와 연결되어 있는 피부에 상처가 있는 개방성 골절임을 의미합니다.
: 완전골절은 뼈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만, 불완절골절은 하나의 겉질에만 영향을 미치며, 경우에 따라 뼈 모양이 변형될 수 있습니다.
: 골편의 개수에 따라 단순골절, 다중골절, 복합골절로 구분되며 그에 맞는 치료 프로토콜을 선택해야 합니다.
: 골절선은 가로, 사선, 세로 방향이나, 나선형 또는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골절선의 양상에 따라 적절한 고정방법을 선택하게 됩니다.
: 골절부위가 관절 혹은 관절낭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이와 관련된 탈구 또는 아탈구의 증거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아직 성장판이 열려 있는 어린 개체의 경우, 성장판이 골절과 연관되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정강뼈 결절이나 자뼈 팔꿈치돌기와 같이 일부 관절 주위 골절은 부착된 힘줄이나 인대의 당김으로 변위될 수 있습니다.
: 골절부위에 압박이나 겹침이 있는 경우 이는 뼈를 짧게 만들고, 불투명도를 증가시킵니다. 이는 척추 골절을 평가할 때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사지골절의 대부분에는 골절을 둘러싼 약간의 연부조직 부종이 관찰되며, 관절 골절에는 관절 삼출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