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경제 뉴스를 보면 한숨이 절로 나옵니다.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의 여파로 체감 경기는 점점 더 얼어붙고 있죠. 세계 각국도 마찬가지입니다. 미국은 혼자 잘나가고 있지만, 유럽은 정치적·경제적 혼란 속에 흔들리고, 중국은 내수 부진과 디플레이션 우려에 발목이 잡혀 있습니다.
각국이 이렇게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는 상황에서, 우리는 어디로 나아가야 할까요? 오늘 뉴스레터에서는 세계 경제 흐름을 중심으로 주요 국가들의 현재 상황을 살펴보며,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함께 고민해보려고 합니다.
미국의 독주: 왜 혼자만 잘나갈까?
요즘 세계 경제를 바라보면 미국이 독보적인 존재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뉴욕 증시는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달러 가치도 강세를 이어가고 있죠. 이처럼 미국 경제가 독주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AI, 클라우드, 자율주행 등 혁신 기술을 주도하는 빅테크 기업들의 성과가 탁월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견고한 자본시장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축통화국으로서의 안정성, 소비력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내수, 글로벌 인재 유입 증가 등도 미국의 경제적 강세를 뒷받침합니다.
그러나 미국이 웃고 있다고 해서 모두가 행복한 것은 아닙니다. 빈부 격차와 사회적 혼란은 심화되고 있으며, 경제적 불평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숙제로 남아 있습니다. 트럼프의 재선 가능성도 이런 내부적 불만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죠.
유럽, 정치적 혼란 속에 흔들리다
유럽 경제는 깊은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올해 들어 세 차례나 정책금리를 인하했지만, 유로존 경제의 전망은 여전히 암울합니다. 내년 유로존 경제성장률은 1.1%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며, 독일과 프랑스의 상황은 특히 심각합니다. 독일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2%로 대폭 하향 조정했고, 프랑스는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국가 신용등급까지 강등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정치적 리더십 문제도 유럽 경제에 큰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독일과 프랑스 모두 정부와 의회의 불안정성이 높아지면서 새로운 선거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혼란은 유럽 경제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중국,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다
중국 경제는 팬데믹 종료 이후 회복의 신호를 기대했지만, 현실은 정반대였습니다. 내수 부진과 디플레이션 우려 속에서 중국 정부는 경기부양책을 잇달아 발표했지만, 효과는 단기적일 뿐 장기적 성과로 이어지지 못했습니다.
여전히 경제 구조적 문제와 무역 갈등이라는 두 가지 난제가 중국을 짓누르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의 갈등은 글로벌 무역 환경에 새로운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죠. 근본적인 경제 개혁 없이 단기 부양책으로는 이 부진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