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덱소 측은 최근 경기도 고양시의 한 동물병원에서 입원 중인 강아지의 상처 부위에서 검출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이 수술실 기구 표면에서도 동일하게 발견된 사례가 있다고 지목했다. 환자로부터 유래한 주요 세균이 동물병원 설비를 통해 다른 환자로 전파될 위험성이 확인된 것이다.
📅 본방송: 2025년 9월 24일(수) 21:00 (당일 20:30부터 입장 가능, 실시간 채팅 Q&A 진행)
👤 연자: 이누리 수의사 (예담동물의료센터 외과 부원장)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외과학 석사
연세대학교 의료기기개발학과 박사과정
前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동물병원 일반외과 진료·전임수의사
前 강동동물병원 외과 과장
前 송도 Heal 동물병원 외과 과장
🎯 강의 소개 이번 강의에서는 수의학 냉동요법(Cryotherapy)과 냉각치료를 실제 외과 임상에 적용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VetEase 장비 ICE NEEDLING™을 중심으로 원리, 적응증, 시술 프로토콜, 합병증 예방과 관리, 그리고 실제 활용 증례까지 폭넓게 정리합니다.
당신은 흉막삼출(pleural effusion)이 있는 고양이에게 흉강천자를 시행했습니다. 채취한 액체는 희뿌연 금색(hazy gold color)이며, 단백질 농도는 7 g/dL, 세포 수는 7,000 cells/μL입니다. 세포 구성은 비변성(non-degenerative) 호중구가 주를 이루며, 소수의 다른 백혈구들과 중피세포(mesothelial cells)가 관찰됩니다. 이 소견에 대한 가장 적절한 해석은 무엇인가요?
1. 종양(neoplasia)이 강하게 의심된다.
2. FIP이 강하게 의심된다.
3. 이는 유미성(chylous) 삼출액이다.
4. 이 삼출액은 전형적인 삼출(exudate)이며, 고양이는 농흉(pyothorax)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