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 1: 병력청취 및 피부 신체검사
이전 진료기록, 첫 발병 시 의심소인, 발병 연령, 계절성, 가려움증 수준, 외부기생충 예방 여부, 동거견/동거묘/동거인 피부병 유무 및 피부병 외 다른 증상의 동반여부 등 자세한 병력 청취는 치료의 시작입니다. 이후 빗질을 통한 외부기생충(벼룩)확인과 검이경 검사를 포함한 모든 피부(발, 피부주름, 항문주위, 겨드랑이, 서혜부 등)의 평가가 필요합니다.
STEP2: 기본 피부검사
피부 도말, 피부 소파검사(skin scraping), 귀 도말(외이염이 있는 경우) 및 필요한 경우 DTM 배양을 포함한 최소한의 기본 피부검사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STEP3. 소양감 치료
피부질환 관리에 있어 삶의 질을 좌우하는 핵심은 소양감 치료입니다. 항소양제(glucocorticoid, oclacitinib, lokivetmab) 처치 및/또는 국소 요법(topical therapy)을 고려하고, 활동성 감염이 동반된 경우 항소양감 처치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소양감에 대한 처치 이전에 감염 평가 및 치료가 중요합니다.
STEP4: 2차 감염, 외부기생충, 외이염 치료
2차 세균 및 말라세지아(Malassezia) 감염, 외이염은 소양감 조절 및 알러지성 질환 진단과 동시에 치료해야 합니다. 또한 외부기생충(벼룩, 진드기 등) 예방을 하지 않았다면 함께 처방해야 합니다.
STEP5: 재검
약물의 치료반응은 처치 시작 14일 후에 평가해야 하며, 각 약물의 치료반응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하나씩 단약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STEP6: 식이요법
식이요법은 4~12주 동안 실시해야 하며, 긍정적인 반응이 있는 경우 진단을 확인하기 위해 음식 시험(원인 식이 재급여 후 소양감 평가)을 실시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