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실명은 개에서 여러 원인에 의해 갑작스럽게 시력을 잃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증상은 다양한 안과적 및 전신적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급성 실명은 일반적으로 응급상황으로 간주되며, 이를 신속하게 평가하고 원인 병변을 확인한 뒤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성 실명은 보호자에게 불안감을 초래하고 성급한 결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의사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따라야 합니다.
병력 청취
실명의 발생 시기, 기간, 정도(소유자가 인지한 시력 상실의 정도), 다른 질병 징후, 약물 복용 이력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시력 상실이 부분적 또는 전체인지, 급성인지 점진적으로 발생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눈의 외관 변화 여부와 전신 질환(감염성 질환, 림프종, 고혈압 등)의 징후가 있는지도 파악해야 합니다. 장기 또는 최근의 약물 투약 이력, 특히 아이버멕틴과 같은 신경독성 약물의 투여 여부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시력 평가
실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검사가 사용됩니다. 양쪽 눈을 번갈아 가며 가리고, 양쪽 눈을 각각 평가합니다.
위협 반응(Menace Response): 손으로 개의 눈 쪽을 향해 위협적인 제스처를 취했을 때 눈을 깜박이거나 고개를 돌리는 반사행동을 보인다면 시력이 남아있다는 증거입니다.
솜볼 테스트(Cotton Ball Test): 소리와 냄새로 인지할 수 있는 가벼운 솜뭉치를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지를 관찰합니다.
착지 시각 테스트(Visual Placing Reaction): 환자를 안아 앞다리가 공중에 떠있는 상태로 만듭니다. 천천히 테이블 방향으로 몸을 기울일 때 앞발로 바닥을 딛으려는 행동을 보이는지를 테스트하여 시각적 반응을 확인합니다.
미로 테스트(Maze Test): 원뿔, 의자, 쓰레기통과 같은 기물을 이용하여 장애물 코스를 만들고, 개가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지 관찰하며 시력을 확인합니다.
암순응(Dark Adaption): 어두운 빛 아래에서의 시야 조절 과정을 의미하며, 동공의 반사 확대 및 막대세포 활성화를 포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