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에서 전십자인대 파열(CrCLR; Cranial cruciate ligament rupture)은 흔하지만 고통스러운 질환으로, 장기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수술적 교정이 필요할 때가 많습니다. 수술의 목적은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회복하고 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술 기법으로는 낭외고정술(Extracapsular Stabilization), TPLO(Tibial Plateau Leveling Osteotomy), TTA(Tibial Tuberosity Advancement)가 있습니다.
- 낭외고정술 (Extracapsular Stabilization)
낭외고정술은 TPLO나 TTA보다 덜 침습적인 방법으로, 대체로 작은 개들이나 덜 심각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손상된 인대 대신 합성 봉합사를 사용하여 전십자인대의 기능을 대체하는 방식입니다.
수술은 관절 외측으로 접근하여 관절 내 구조를 검사하고, 관절 내 찢어진 전십자인대 섬유를 제거합니다. 관절 세척 후 관절낭을 봉합합니다. 이후 강한 합성 모노필라멘트 봉합사(주로 나일론 리더 라인)를 사용하여 무릎을 안정화시킵니다. 봉합사는 외측 파벨라 주위와 경골 능선에 구멍을 뚫어 통과시켜 고정합니다. 경우에 따라, 봉합사는 대퇴골과 경골에 본 앵커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낭외고정술을 적용한 85~94%의 개에서 기능적 개선을 보입니다. 하지만 관절염이 진행되거나 주변 섬유증화가 충분히 강하지 않은 경우 재발할 수 있습니다. TPLO와 낭외고정술을 비교한 연구에서는 TPLO가 장기적으로 더 좋은 결과를 보였고, 낭외고정술은 방사선 상 골관절염의 진행을 더 가속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낭외고정술의 합병증은 TPLO나 TTA보다 발병률이 낮은 편이지만, 여전히 봉합사의 실패나 재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10%에서 20%의 개들이 수술 후 몇 년이 지난 후에도 재수술이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TPLO (Tibial Plateau Leveling Osteotomy)
TPLO는 20년 이상 적용되어 온 수술 기법입니다. TPLO의 주요 목표는 경골 평면의 각도를 수평으로 맞추어 체중부하 시 전방경골추력(cranial tibial thrust)을 줄이는 것입니다. 무릎 관절의 불안정을 유발하는 비정상적인 힘을 줄여 안정화를 도모합니다.
TPLO 수술은 경골 원위부 내측 접근을 통해 시행됩니다. 경골 평면에 반원형 골절을 만들어, 수술 전 측정값을 기반으로 경골 평면을 회전시키고, 골절을 골판과 나사로 고정합니다. 절개 부위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봉합합니다. TPA가 30도 이상인 개나 각도의 변형이 있는 개에도 시행 가능한 수술방식입니다.
TPLO는 특히 대형견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며, 많은 개들에게 정상 또는 거의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시켜줍니다. 연구에 따르면 TPLO는 체중 부하가 있는 상태에서 기능 회복에 효과적이며, 많은 수의 수의사들이 60파운드 이상의 대형견에게 TPLO를 권장하는 주요 수술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TPLO와 다른 수술 방법들을 비교한 연구에서 TPLO가 일관되게 더 좋은 기능적 결과를 보여주고, 보호자의 만족도가 더 높았습니다. 1000마리의 개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에 따르면, TPLO의 합병증률은 14.8%였으며, 6.6%는 재수술이나 장기간 절름거림을 유발하는 주요 합병증이었습니다. 주요 합병증에는 후발성 반월상 연골 손상(2.8%)과 감염(6.6%) 등이 포함됩니다.
- TTA (Tibial Tuberosity Advancement)
TTA는 경골 결절을 전위시켜 전방경골추력(cranial tibial thrust)을 없애는 방법입니다. 경골 결절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무릎 관절에서 힘의 방향을 변화시켜 불안정성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TTA 수술은 경골 능선의 전두내측 부위에 접근하여 시작됩니다. 장지확장근(long digital extensor muscle)의 기시점부터 경골 능선의 원위부까지 골절을 시행한 후, 적절한 크기의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경골 결절을 전방으로 이동시킵니다. 이후 TTA 플레이트와 포크를 사용하여 경골 능선을 고정합니다. 골절 부위는 나사로 고정하고, 골 이식편을 삽입한 후 봉합을 진행합니다.
TTA는 TPLO와 달리 슬개건(patellar ligament)의 긴장을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TPLO 후에 가끔 발생하는 슬개건염(patellar ligament desmitis)이 TTA에서는 드물게 발생합니다. 그러나 TTA를 TPLO 및 다른 수술 방법들과 비교한 연구에서는 TPLO와 TightRope 수술이 TTA보다 더 좋은 기능적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장기 비교 연구에서는 TPLO와 TightRope 수술이 TTA보다 더 많은 개들이 완전한 기능을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458마리 개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TTA의 전체 합병증률은 19%였으며, 그 중 11.4%는 주요 합병증이었습니다. TTA는 TPLO가 적합하지 않은 개들에 대해 유효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CrCLR 치료를 위한 수술 방법의 선택은 개의 크기, 나이, 활동 수준, 그리고 질환의 심각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TPLO는 대형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수술 방법으로, 관절의 안정성을 회복하고 기능을 회복하는 데 높은 성공률을 보입니다. TTA는 특정 유형의 CrCLR에 유리한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슬개건의 긴장을 줄여주는 이점이 있지만, TPLO와 비교하여 합병증률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외측 캡슐 외 고정술은 덜 침습적이며 작은 개나 덜 심각한 CrCLR에 적합하지만, TPLO나 TTA보다 장기적인 결과가 낮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