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세포종(MCT, Mast Cell Tumor)은 개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피부 종양 중 하나로, 개의 피부 종양 중 약 20%를 차지합니다. 비만세포종은 생물학적 행동은 다양하며, 세포학적 등급을 통한 분류는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하게 활용됩니다.
현재 비만세포종의 등급을 분류하는 주요 기준은 조직병리학적 평가입니다. 전통적으로 사용된 3단계 시스템(Patnaik system)은 종양을 Grade I, II, III로 나누어, Grade I은 분화가 잘 되어있고 전이율이 낮은 저악성 종양, Grade III은 분화가 잘 되지 않아 전이율이 높은 고악성 종양으로 분류됩니다. Grade II는 대개 중간 정도의 특성을 가진 종양으로, 다양한 생물학적 행동을 보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Grade II의 약 20%는 공격적인 성질을 보이며, 이로 인해 치료 결정에서 불확실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1년 Kiupel 등은 비만세포종을 low grade과 high grade 2단계로 나누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제안했습니다. Mitotic figure가 많거나, multinucleated cell 및 bizarre nuclei를 포함하는 세포가 다수 관찰되는 경우 high grade로 분류합니다. Kiupel 시스템은 등급 분류와 임상 결과 간의 상관성이 높고, 진단의 일관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13년 Oncology-Pathology Working Group (OPWG)은 Patnaik 시스템과 Kiupel 시스템을 결합하여 4가지 분류로 비만세포종의 등급을 예측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1) Grade I/low-grade, (2) Grade II/low-grade, (3) Grade II/high-grade, (4) Grade III/high-grade
세포학적 평가는 비만세포종 진단에서 자주 사용되는 빠르고 저렴한 방법입니다. 세포학적으로 비만세포종은 종종 다량의 작은 원형 보라색 과립을 포함한 세포들이 떨어져 나오는 특징을 보입니다. 이 과립은 비만세포종을 진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Kiupel 시스템의 세포학적 특성은 세포학 샘플을 통해 평가할 수 있습니다. 연구를 통해 세포학적 특성과 조직학적 등급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했으며, 세포학적 등급이 조직학적 등급과 94% 이상의 일치도를 보였다고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세포 검사는 조직학적 검사에 비해 세포수가 적고, mitosis가 적게 나타나 진단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Camus Grading System
Camus 등은 세포학적 등급 분류에서 조직학적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 외에도, 세포들의 과립 정도, 비정상적인 핵 모양, 다핵 세포 등을 평가하여 환자의 생존 예후와 연관된 새로운 등급 시스템을 제안했습니다. 이 시스템에서는 과립도가 적거나, 두 가지 이상의 비정상적인 세포 특징(체세포 분열 모습, 이핵세포 또는 다핵세포, 핵 다형성, 이핵증)을 보일 경우 high grade으로 분류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생존율 예측에서 조직학적 등급과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며, 예후를 예측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Paes Grading System
Paes 등은 섬유아세포와 콜라겐 섬유의 수를 평가하고, 이핵세포와 핵 다형성을 제외하여 Camus 시스템을 수정했습니다. 섬유아세포와 콜라겐 섬유는 모두 MCT에서 흔히 발견되며 low grade에서 더 흔합니다. 연구에서는 이것이 적게 발견되면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또한, 세포학적 평가에서 high grade으로 분류된 일부 종양들이 조직학적 평가에서 low grade으로 판별되는 경향을 보여, 세포학적 등급이 예후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세포학적 등급 분류를 적용할 때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과립이 많이 포함된 종양에서는 핵 모양을 평가하기 어려워 비정상적인 핵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세포학적 방법은 피부 비만세포종과 피하 비만세포종을 구분할 수 없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됩니다. 또한, 사용되는 염색 방법에 따라 세포 과립이 덜 염색되어 고등급으로 잘못 분류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포학적 등급 분류는 조직학적 등급과 상당한 일치도를 보이며, 예후 예측에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세포학적 평가가 빠르고 저렴하기 때문에, 임상에서 많은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