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동물에서의 두부외상(Head truma)는 외상성 뇌손상(TBI; Traumatic brain injury)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보일 수 있으며, 신속하고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예후가 좋아질 수 있습니다. 개와 고양이에서 두부외상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주로 교통사고와 압궤 손상(heavy object crush injuries)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외에도 고층에서의 낙상, 총상, 교상, 사람에 의한 공격 등 다양한 외상이 원인이 됩니다. 두부외상에 대한 빠르고 체계적인 대응은 회복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두부외상에서 두개내압(ICP)의 증가는 중요한 병태생리적 기전 중 하나입니다. 뇌관류압(CPP)은 평균 동맥압(MAP)에서 ICP를 뺀 값으로 정의되며, 뇌로의 적절한 혈류 유지를 위해 중요합니다. Monro–Kellie 원리에 따르면 뇌실질, 혈액, 뇌척수액의 총량은 일정하며, 이들 중 어느 하나의 부피가 증가하면 ICP가 상승하게 됩니다. ICP가 상승하면 CPP는 감소하고, 이로 인해 뇌허혈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뇌허혈이 지속되면 신경세포 사멸로 이어지며, 결국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ICP가 급격히 상승할 경우 뇌 탈출(brain herniation)이 발생하며, 쿠싱 반사(Cushing reflex) 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고혈압과 서맥을 특징으로 하며, 뇌관류를 유지하려는 생리적 반응입니다. 그러나 쿠싱 반사는 보통 말기 단계에서 나타나는 징후로, 생명을 위협하는 ICP 상승을 시사하므로 즉각적인 치료가 요구됩니다.
두부외상 후 발생하는 이차적 뇌손상은 외상 직후부터 수일에 걸쳐 발생할 수 있는 복잡한 생화학적 과정입니다. 외상에 의해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이 과도하게 방출되고, 세포 내 ATP가 고갈됩니다. 나트륨과 칼슘의 세포 내 유입은 신경세포 손상을 가중시키며, 특히 나트륨은 세포독성 부종을, 칼슘은 직접적인 신경세포 사멸을 유발합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에 의해 신경세포막이 손상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일어나 아라키돈산 경로 및 응고계를 활성화시킵니다. 이로 인해 혈뇌장벽(BBB)의 손상과 추가적인 뇌손상이 발생합니다. 염증 반응은 혈관 확장과 자율조절 기능 상실을 초래하여, ICP 상승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두부외상 환자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생명을 위협하는 두개외 손상의 조기평가입니다. 기도, 호흡, 순환(ABC)의 기본 평가 순서를 따르며, 심전도와 혈압 측정은 필수입니다. 환자가 쇼크 상태라면, 저혈압, 저혈량증, 저산소증을 빠르게 교정해야 합니다. 이 증상들은 ICP 상승 및 사망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합니다.
두부외상 환자의 초기 평가는 ATT(Animal Trauma Triage) 점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TT는 관류, 심장, 호흡기, 눈/근육/피부, 골격계, 신경계의 6가지 항목을 0~3점으로 평가하며, 총점은 최대 18점입니다. 각 점수는 환자의 외상 정도(0점-경미한 부상, 3점-심각한 부상)를 반영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생존 가능성은 크게 감소합니다. 또한, VetCOT(Veterinary Committee on Trauma)라는 새로운 점수 체계도 제안되고 있습니다. 이는 입원 후 6시간 이내 측정된 혈액 이온화 칼슘과 젖산 농도, 그리고 두부 및 척추 외상의 유무를 기준으로 하며, 아직까지는 추가 검증이 필요한 단계입니다.
두부외상 이후에는 신경성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호흡곤란, 저산소증, 고탄산증을 유발하고 ICP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병태생리는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급격한 교감신경 항진에 따른 말초 혈관 수축과 폐모세혈관압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집니다. 대부분 자가적으로 호전되지만, 조기 개입과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가 중요합니다. 산소 공급, 필요 시 진정제 사용, 급성기에는 이뇨제 투여가 필요할 수 있고, 호흡곤란이 심한 경우에는 삽관 및 인공호흡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체온조절중추의 손상, 통증, 발작 등으로 인해 고체온(hyperthermia)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뇌의 대사율 증가와 혈관 확장을 통해 ICP 상승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소동물의 두부외상은 병태생리적 특성과 초기 대응이 예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신속한 두개외 손상 평가와 더불어, ICP와 CPP의 관계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이차 손상의 진행 기전을 인식하는 것은 초기 대응 전략을 세우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