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크란 급격한 전신 순환부전으로 인해 장기를 구성하는 세포 기능이 손상된 결과로 발생하는 증상 및 증세의 총칭이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급격한 전신 순환부전은 말초 조직에 산소 공급을 저해합니다. 산소가 부족한 세포에서는 호기적 당 대사를 하지 못하여 에너지 생산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기능이 손상되고 결과적으로 장기의 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것입니다.
쇼크의 4가지 분류
- 순환 혈액량 감소성 쇼크
순환혈액량 감소성 쇼크는 출혈, 심한 설사나 구토로 인한 탈수, 열상 등에 의해 순환 혈액량이 감소하여 심장에의 혈액 관류가 감소하여 유발되는 쇼크입니다.
- 혈액 분포 이상성 쇼크
혈액분포이상성 쇼크는 패혈증, 아나필락시스, 심한 통증 등에 의해 말초 혈관이 확장되며 혈액이 저류하여 발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패혈증성 쇼크와 SIRS(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전신 염증반응증후군)
SIRS란 기존의 패혈증성 쇼크로 분류되고 있는 병태에 대한 치료 성적이 나쁜 것으로부터 가능한 조기에 환자를 패혈증으로 확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으로, 체온, 심박수, 호흡수, 백혈구 수 4가지 항목의 아래 기준 중 2가지 이상을 충족할 때 SIRS로 진단합니다.
l 체온: 37.8℃ 이하 또는 39.7℃ 이상
l 심박수: (개) 160bpm 이상, (고양이) 250 bpm 이상
l 호흡수: 40 회/분 이상 또는 PaCO2 32 mmHg 이하
l 백혈구 수: 16,000/μL 이상 또는 4,000/μL 이하, 간상 호중구 10% 이상
패혈증은 SIRS를 동반한 감염증, 환자의 혈액으로부터 세균이 검출되는 균혈증을 의미하고, 심한 패혈증은 그 중에서도 장기부전, 순환부전, 저혈압을 동반한 패혈증을 말합니다. 패혈증성 쇼크는 충분한 수액 처치에도 불구하고 저혈압이 지속되는 패혈증을 말하며, 혈관수축제 투여로 혈압이 유지되는 환자도 이에 포함됩니다.
- 심원성 쇼크
심원성 쇼크는 심근증이나 부정맥, 건삭파열 등에 의해 심장자체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어 유발됩니다.
- 폐쇄성 쇼크
폐쇄성 쇼크는 혈전 등으로 혈관이 막혀서 혈액이 박출될 수 없는 경우나, 심장 탐포네이드(cardiac tamponade) 등 심장에 혈액을 채울 수 없는 경우 유발됩니다.
쇼크 환자에서는 여러 전신적인 증상이 관찰됩니다.
- 순환기계증상 - 혈압 저하, 심박수 증가, 모세혈관재충만시간(CRT; Capillary Refill Time) 연장
- 호흡기계증상 – (초기) 과호흡, (후기) 호흡저하, 무호흡
- 신경계증상 – 불안정, 흥분, 경면, 혼수
- 비뇨기계증상 – 핍뇨, 무뇨
- 기타증상 – 창백한 점막(MMC pale; Mucous Membrane Color), 근육 긴장성 저하 등
쇼크에 종류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실전 소동물 응급의학 질환별 대처법(백마출판사)의 내용 일부를 참고 및 수정하여 작성된 내용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