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ㆍ수] 수의사를 위한 증권/경제
[화ㆍ목] 수의학 학술 지식
[금] 여가, 맛집, 부동산 정보 |
|
|
👋 안녕하세요 님!
요즘 병원 운영에 필요한 인재 채용, 잘 되고 계신가요?
최근 몇 년 동안 '구직하지 않고 그냥 쉬었다'고 답하는 청년들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인데요.
얼마 전에는 구직을 단념한 2030 청년층이 역대 최대 수준에 달했다는 뉴스도 나왔습니다.
사회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이른바 '쉬었음' 청년 증가,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일각에서는 꽁꽁 얼어붙은 노동 시장을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채용 시장이 나빠지니 취업이 어려워졌고, 그로 인해 아예 일자리를 구하지 않고 쉬어버리는 경우가 많아진 것이죠.
현재의 노동 시장을 IMF 이후의 취업 빙하기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침체기와 같은 시각으로 바라보는 논의도 이어지고 있다고 해요.
조속한 해결을 바라며, 오늘의 벳플레터 시작하겠습니다.
|
|
|
CASE FORUM
👆 벳플레이스 케이스 소개 |
|
|
🔎중성화 수술& 유치 발치 케이스
중성화 수술과 견치유치 발치를 오전에 진행하셨다고 해요.
기초예방접종 완료 및 1회 발정 후 중성화수술을 진행하게 된 케이스라고 하셨는데요.
|
|
|
HOT TOPIC
🤞 벳플레이스 인기글 BEST3 |
|
|
🔎우리 병원 만큼 복지 좋은 곳 없다
🔎진상(?)보호자 상담 간단 모음집
|
|
|
💼[남양주] 24시 공감365동물의료센터에서 내과과장님을 구인합니다.
모집인원: 0명
💼[부산] 더본외과동물의료센터에서 진료 수의사 선생님을 모십니다
💼[광주광역시]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야간수의사 구인합니다(주3일 일,월,화 2025년1월1일부터 근무시작)
모집인원: 0명
|
|
|
‘진료비 최대 70% 할인’ 성남시립동물병원, 1년간 1,714마리 이용 |
|
|
지자체 동물보호소는 죽음의 수용소인가?
연간 10만 마리 이상, 매일 300마리 이상의 동물이 버려지고 있는 가운데, 동물보호소에 입소하는 동물의 절반 이상이 보호소에서 죽음을 맞이하고 있다. 수용 한계를 넘어선 유실·유기동물의 발생→보호센터의 과밀→보호수준 하락→자연사 증가 및 입양 저해의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
|
|
" 평균적인 개는 평균적인 사람보다 훨씬 품성이 좋다. "
|
|
|
📆 Week's Calendar
투자할 때 참고 필수! 이번 주 경제 일정 |
|
|
🐾11월 11일(월)
- 외식프랜차이즈 전문업체인 더본코리아가 코스피에 상장
- 카카오뱅크, 두산로보틱스, SK텔레콤, 에이피알, 휴젤, 데브시스터즈 3분기 실적 발표
- 해외 증시 노보 노디스크, 길리어드 사이언스, 퀄컴 3분기 실적 발표
- 6일 오늘까지 희귀 유전질환 진단 검사 전문업체 쓰리빌리언 공모청약
- 레드북 소매판매
- 전미자영업연맹 소기업 낙관지수 (10월)
- 연준 월러 이사의 연설
- 미국 모기지 시장지수
- 인도 M3 통화공급
🐾11월 14일(목)
- 유럽 산업생산,고용변동 발표
- 실업수당청구건수 연속, 신규 발표
- 한국 M3 통화공급
- 태국 소비자 신뢰지수
- 미국 천연가수 재고량 발표
- 브라질, 인도 기념일 휴장
- 한국 무역수지
|
|
|
📣벳플팀의 코멘트
더 많은 경제정보를 원하시는 선생님들은 벳플레이스에서
확인 부탁드려요 😄
|
|
|
🐟 증권,경제이야기
병원 운영에 필요한 물품비 부담, 요즘 어떠신가요?
|
|
|
물가 상승률, 역대 최저 수준으로
물가 상승률이 낮아졌다지만, 여전히 줄줄 새는 지갑은 막기 힘들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최근 발표된 10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전년 대비 1.3%로 나타났는데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6%대까지 치솟았던 물가가 금리 인상으로 점차 잡히면서, 올해는 2%대로 안정되었고, 9월에 이어 10월에는 3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올해 목표로 설정한 2%를 밑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죠.
누적된 물가 상승의 부담
하지만 문제는 '누적된 물가'입니다. 정부에서는 안정세를 강조하고 있지만, 병원을 운영하시는 입장에서는 물가 둔화가 체감되기 어려우실 겁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매달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만을 반영할 뿐, 그동안 쌓인 누적 상승분을 보여주지 않기 때문이죠. 2020년과 비교했을 때, 올해 10월의 물가는 14.69%가량 올랐습니다. 코로나 이전보다 15% 정도 높아진 물가 수준에서 병원 운영을 이어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다른 분야도 상황이 비슷해요
이와 더불어, 물가 지수에 포함된 품목 중에는 가전제품 같은 항목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실제로 자주 구입하는 신선 채소의 물가는 여전히 높습니다. 10월 신선 채소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15.7% 상승했으며, 특히 배추(51.5%), 무(52.1%), 상추(49.3%) 등의 상승률이 두드러졌다고 해요.
물가가 안정된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많은 분들이 지갑 사정이 팍팍함을 느끼고 있는 상황입니다.
|
|
|
✍🏻벳플팀 코멘트
세부적인 내용에 관심 있으신 선생님들은 벳플레이스에 글을 남겨주세요!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
|
|
❔ 데일리 벳플퀴즈
[내일까지 풀 수 있는 벳플 퀴즈]
다음 약물 중 히스타민의 상당한 방출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요?
|
|
|
1. 부토르파놀 (Butorphanol) 2. 케타민 (Ketamine) 3. 모르핀 (Morphine) 4. 아세프로마진 (Acepromazine) |
|
|
📣벳플팀의 코멘트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언제든 벳플레이스에 문의해주세요!!
수의사 선생님들을 위해 언제나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
|
|
이번 주 뉴스레터도 도움이 되셨나요? 독자들의 의견을 보내주세요😃
😃 aa 선생님 : 포인트 고마워요.
😃 bb 선생님 : 잘 보고 있어요. |
|
|
💪
날씨가 쌀쌀해졌어요.
(벳플레이스 회원 aOO님의 한마디) |
|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57-33 하이브로빌딩 14층
ⓒ 2023. VETPLACE All Rights Reserved.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