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에서의 감염성 결막염
- 바이러스성 결막염
개에서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주로 개 헤르페스바이러스-1 (CHV-1)이나 개 아데노바이러스-2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CHV-1은 개에서 결막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바이러스입니다.
CHV-1에 의한 결막염은 1차 감염 또는 재발성 감염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어린 개나 면역 억제 상태의 개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눈꺼풀 경련, 결막 충혈, 결막 부종, 눈 분비물 등 비특이적 증상이 대부분이나, CHV-1 결막염에서는 결막 궤양과 자반출혈(피하 출혈)이 자주 관찰됩니다. 해당 증상이 관찰될 경우 다른 원인으로 인한 결막염에서는 드물게 나타나므로, CHV-1 감염을 의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CHV-1 결막염의 진단은 바이러스 분리 또는 PCR 분석을 통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어린 개는 일반적으로 자연 회복되지만, 면역 억제 상태의 개체에서는 항바이러스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료에는 1% 트리플루리딘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시도포비르는 일부 개에서 효과적인 치료제로 보고되었으나, 심한 국소 안구 독성을 일으킬 수 있어 첫 번째 선택 치료제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 기생충성 결막염
개에서 기생충성 결막염은 주로 텔라지아(Thelazia)와 온코세르카(Onchocerca)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들 기생충은 특정 지리적 범위에서만 발생하므로, 동물의 여행 이력을 확인하는 것이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텔라지아(Thelazia)는 파리 매개로 전파되는 선충류로, 개와 고양이의 결막 주름과 비루관에 서식합니다. 눈 표면에서 1~1.5cm 크기의 얇고 흰색의 운동성 기생충을 확인함으로써 진단됩니다. 치료는 기생충의 물리적으로 제거하거나 항기생충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온코세르카(Onchocerca)는 nodule 형성이 특징적이며, 진단은 조직학적 검사나 PCR로 확인합니다. 치료는 수술적 절제와 항기생충 치료가 필요하며, 재발이 흔하고 치료 경과가 불확실할 수 있습니다.
개에서의 감염성 결막염은 바이러스와 기생충에 의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치료 방법이 요구됩니다.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고양이에서의 감염성 결막염
- 바이러스성 결막염
고양이 헤르페스바이러스-1(FHV-1)은 고양이 결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결막염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각막 질환, 호흡기 질환과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은 주로 병력과 임상 증상을 기반으로 하며, PCR, 바이러스 분리, 면역형광 검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FHV-1은 간헐적으로 배출될 수 있어, 바이러스의 검출이 고양이의 안과 질환으로 유발되었거나 우연히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세포학적 검사에서는 핵 내 바이러스 포함체가 드물게 나타나므로 신뢰할 수 없으며, 혈청학적 검사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치료 목표는 질병 지속 시간을 단축하고 후유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2차 세균 감염 예방을 위한 치료와 함께 항바이러스 치료가 필요합니다. FHV-1에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로는 0.5% 시도포비르, 1% 트리플루리딘, 경구용 팜시클로버(famciclovir) 등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옵션으로 사용됩니다.
고양이 칼리시바이러스는 흔히 어린 고양이에서 결막염을 일으킵니다. 주로 양측성으로 나타나며 궤양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칼리시바이러스 결막염은 상기도 질환 및 구내염과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자가 회복되며, 치료는 주로 대증치료에 한정됩니다. FHV-1에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는 칼리시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 세균성 결막염
클라미디아 펠리스(Chlamydia felis)와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는 고양이 결막염의 흔한 원인으로, 임상적으로 유사한 양상을 보입니다. 편측성 또는 양측성 결막염으로 나타나며, 만성화되면 결막 여포(follicles)와 가성막(pseudomembrane)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결막의 세포학적 검사를 통해 상피 내 봉입체를 확인하여 진단하거나, 배양, PDR검사를 통해서도 진단이 가능합니다. 국소 항생제(oxytetracycline, erythromycin 등), 경구항생제(doxycycline, azithromycin)이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며, 특히 클라미디아에 의한 결막염에는 doxycycline이 일차 선택으로 권장됩니다.
|